본문 바로가기

일상 속 호기심

#2 리모컨의 적외선 불빛이 카메라에 잡히는 이유

#2 리모컨의 적외선 불빛이 카메라에 잡히는 이유

 

이번에는 좀 더 흥미로운 주제를 들고왔는데요, 리모컨에 불빛이 나가는 부분(발광부)에서 적외선이 나와 TV의 수광부(빛을 받아들이는 부분)가 이 적외선 신호를 받아들여서 리모컨이 작동되는 원리는 대부분 알고 계실거라고 생각합니다. 그러나 이 적외선은 우리가 볼 수 있는 가시광선 영역 안에 없는 빛이기 때문에 리모컨과 TV가 적외선 빛으로 신호를 주고받는 동안에도 우리는 그 빛을 볼 수 없습니다. 그런데, 우리가 볼 수 없는 이 적외선 빛이 카메라에는 포착이 된다는 사실, 알고계셨나요?

 

[리모컨 버튼을 누르기 전_]

 

[리모컨 버튼을 누른 후_]

 

보셨나요? 아, 참고로 카메라에 불빛이 전혀 잡히지 않는데 인위적으로 포토샵을 이용해서 불빛이 나오게 합성한다거나 그런 작업은 전혀 거치지 않은 리사이징만 한 '원본' 그대로의 사진입니다.

 

 그렇다면 앞에서 말했듯이 적외선은 인간의 눈으로는 볼 수 없는 빛인데 어떻게 카메라로는 우리에게 보여지는 것일까요?

 

카메라의 이미지센서(CMOS)

 

 그 이유는 바로 카메라에서 우리 눈의 망막 역할을 하는 이미지센서(CMOS 센서)의 빛 감지 범위가 눈보다 넓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우리 눈으로 보이는 가시광선 영역만 최대한 수용하도록 적외선과 자외선을 걸러주는 필터가 이미지센서 앞에 장착되어있는데요, 사실 카메라 기능이 주인 미러리스 카메라나 DSLR 카메라의 경우 이미지센서 앞에 이런 필터들을 달 공간이 넓어 제역할을 다 하게 해 줄수 있는데요, 작은 센서들이 집적되어있는 핸드폰 카메라의 경우엔 이런 필터를 달 공간이 협소하여 DSLR 카메라에 달린 필터보다 성능이 다소 떨어져 이런 리모컨 불빛이 보이는 것입니다.

 

앞으로 기술이 더 고도화되어 폰카메라가 DSLR을 대체할 수 있는 날이 왔으면 좋겠네요^^

 

 

 

 

비슷한 글 더보기

2015/05/23 - [일상 속 호기심] - #1 SSD와 HDD(하드디스크)의 차이점은? (1/2) - 하드디스크의 원리

2015/05/23 - [일상 속 호기심] - #1 SSD와 HDD의 차이점은? (2/2) - SSD의 원리/HDD와의 차이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