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일상 속 호기심

입으로 바람 불 때 입을 벌린 크기에 따라 바람의 온도가 다르게 느껴지는 이유는? 다들 한 번쯤 하~하고 바람을 불면 입에서 뜨거운 바람이 나오는데 후~하고 바람을 불면 시원한 바람이 나온다는 것을 느껴보셨을 것입니다. 그런데 그 이유를 아는 분은 얼마 없으실 텐데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그 이유를 한번 알아보려고 합니다. 그런데 그 이유를 알기 위해서는 열역학에 대한 기초적인 이해가 바탕이 되어야합니다. 왜냐하면 그 원리가 단열팽창이기 때문이죠. 그럼 본격적으로 원리를 알아보도록 해봅시다. 먼저, 열역학 제1법칙은 Q=ΔU+W입니다. "가해준 열 = 내부에너지의 증가량 + 기체가 외부에 해준 일의 양"을 의미합니다. 물론 Q는 기체가 열을 방출할 때는 음수가 되고, 내부에너지가 감소하면 ΔU는 음수가 되고, 기체가 외부에서 일을 받으면 W는 음수가 됩니다. 기체가 외부에서 일을 받는다.. 더보기
#2 리모컨의 적외선 불빛이 카메라에 잡히는 이유 #2 리모컨의 적외선 불빛이 카메라에 잡히는 이유 이번에는 좀 더 흥미로운 주제를 들고왔는데요, 리모컨에 불빛이 나가는 부분(발광부)에서 적외선이 나와 TV의 수광부(빛을 받아들이는 부분)가 이 적외선 신호를 받아들여서 리모컨이 작동되는 원리는 대부분 알고 계실거라고 생각합니다. 그러나 이 적외선은 우리가 볼 수 있는 가시광선 영역 안에 없는 빛이기 때문에 리모컨과 TV가 적외선 빛으로 신호를 주고받는 동안에도 우리는 그 빛을 볼 수 없습니다. 그런데, 우리가 볼 수 없는 이 적외선 빛이 카메라에는 포착이 된다는 사실, 알고계셨나요? [리모컨 버튼을 누르기 전_] [리모컨 버튼을 누른 후_] 보셨나요? 아, 참고로 카메라에 불빛이 전혀 잡히지 않는데 인위적으로 포토샵을 이용해서 불빛이 나오게 합성한다거나.. 더보기
#1 SSD와 HDD의 차이점은? (2/2) - SSD의 원리/HDD와의 차이점 #1 SSD와 HDD의 차이점은? (2/2) - SSD의 원리/HDD와의 차이점 이전 게시글(http://enginst.tistory.com/3) 에서는 HDD의 구조와 작동원리에 대해 간단히 알아보았습니다. 이번 게시글에서는 SSD의 구조와 작동원리에 대해 설명한 후 SSD와 HDD의 차이점을 비교하도록 하겠습니다. SSD(Solid State Drive) [출처 = (좌)다나와 (우)네이버캐스트] 위의 사진과 같이 하드디스크보다 좀 더 날렵하고 매끈하게 생긴 모습을 보실 수 있습니다. SSD는 앞에서 보셨듯이 CD 모양으로 생긴 플래터 등이 있는 하드디스크와는 기본 구조부터가 다릅니다. SSD의 경우, 정보를 저장하기 위해 플래터 대신에 메모리, 그중에서도 램에 사용된 D램 메모리가 아닌 '낸드플래시.. 더보기
#1 SSD와 HDD(하드디스크)의 차이점은? (1/2) - 하드디스크의 원리 #1 SSD와 HDD의 차이점은? (1/2) - 하드디스크의 원리 데스크탑 컴퓨터나 노트북 컴퓨터의 사양 정보를 보면 어떤 건 64GB, 128GB. 256GB 같이 용량수가 적은데도 불구하고 500GB나 1TB같은 대용량의 컴퓨터보다 비싼 경우가 있는데, 이를 보고 용량이 클수록 가격이 비싼게 정상 아닌가? 그런데 이 제품들은 왜 용량이 적은데도 가격이 같거나 더 비싸지? 하는 의문들을 가져본 적이 있지요? 이 문제에 대한 해답은 바로 SSD(Solid State Drive)와 HDD(Hard Disk Drive)에 있습니다. 그럼 SSD와 HDD가 도대체 무엇인지를 알아봅시다. HDD(Hard Disk Drive) [출처 = (좌)네이버 지식쇼핑 (우)네이버 캐스트] HDD(이하 '하드')는 위에 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