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계공학 썸네일형 리스트형 비행기의 조종 원리 저번 포스팅에서는 비행기가 날 수 있는 원리를 알아보았습니다. 이번 시간에는 비행기를 조종할 수 있는 원리를 알아보겠습니다. 비행기가 날 수 있는 것은 이미 알아봤듯이 공기의 흐름에 의한 양력 때문인데요 그렇다면 비행기의 양력을 조절하는 방법에는 속력을 조절하는 방법 밖에 없을까요? 물론 아닙니다. 양력을 조절하는 방법에는 받음각의 크기를 조절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받음각이란 바람의 방향(바람이 없다면 비행기의 전진방향)과 날개가 이루는 각도인데요. 위 사진을 보면 쉽게 이해될 것 같습니다. 저 받음각이 커지면 양력도 커집니다. 받음각이 커지면 날개의 양력계수가 커지는데 그 이유는 받음각이 생기면 날개 위를 지나는 공기의 속도가 빨라지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받음각이 커진다고 양력이 계속 커진다면 비행기.. 더보기 비행기가 날 수 있는 원리 새를 보고 날고 싶다고 생각해본 적이 있나요? 그 생각은 과거 15세기로 거슬러 갑니다. 레오나르도 다빈치는 새를 관찰하고 날개짓을 통한 비행을 상상했습니다. 그리고 모두 알다시피 다빈치는 비행을 하는데에 실패했죠. 그 이유는 무엇일까요? 새, 또는 비행체는 네 가지의 힘을 받습니다. 중력, 양력, 항력, 추력이죠. 중력보다 양력이 클 때 떠오를 수 있고 항력보다 추력이 항력보다 클 때 앞으로 나아갈 수 있습니다. 그런데 사람의 중력(무게)이 약 60kg이라고 하면 그걸 날개짓을 통한 양력으로 버텨내야하는데 인간의 근육은 그런 힘을 오랜 시간 동안 낼 수 없죠. 체조선수조차도 링 위에서 두 팔을 양 옆으로 뻗고 몇 초만 겨우 버틸 수 있는데요. 그런데 새의 경우에는 엄청난 가슴 근육을 갖고 있기 때문에 .. 더보기 기계란 무엇인가? 기계공학에 관한 포스팅을 이어나가기 전에 가벼운 마음으로 질문 하나 던져봅니다. 과연 기계란 무엇일까요? 단편적으로 서술한다면 기계는 동력을 사용하여 작업을 수행하는 도구를 통틀어서 이르는 말입니다. 하지만 기계에 대해서 조금 재미있게 색다르게 정의해준 친구들이 있는데요. 이미 많은 분들이 알고 계시는 영화, 세얼간이의 주인공들 입니다. 주인공인 란초와 차투르가 생각하는 '기계'는 무엇일까요? 차투르 : 기계란 연결되어 있는 물체의 결합이라고 할 수 있으며 그들의 상대적 운동이 발 생합니다. 그 말은 즉, 힘과 운동이 전달되고 변형됩니다. 란초 : 인간의 수고를 덜어주는건 다 기계라고 할 수 있죠. 일을 좀 더 쉽게 만들어주거나 걸리는 시간을 줄여주는 것이 기계 입니다. 기계에 대한 주인공들에 대한 설명.. 더보기 고려대-카이스트 이공계 진로 캠프 2015.01.08~10에 진행된 캠프에서 카이스트 방문 때 본 로봇입니다. 더보기 이전 1 다음